티스토리 뷰
이번 포스팅은
Tomcat log파일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log 파일을 보면 어느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했는지..
또, 서버가 어떠한 이유로 인해 에러가 발생했는지 등등..
많은 정보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tomcat에서 제공하는 log 타입은 4가지 이며,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 : http://www.slideshare.net/jieunsys/ss-56543446
Tomcat을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log 파일은
tomcat root경로/logs 에 위치하게 됩니다.
log 파일을 확인 할 때, more 명령어를 사용하여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으나,
가장 최근 내용과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log까지 확인하고 싶을 경우에는
tail -f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tail -f localhost_access_log.2016-12-03.txt 파일을 보겠습니다.
localhost_access_log는 어느 host에서, 언제, 어떤 방식으로 데이터를 요청했는지 기록하는 log파일 입니다.
그럼 4가지 종류의 log를 설정하는 파일 인
logging.properties 를 보겠습니다.
logging.properties 파일은 tomcat root경로/conf 디렉토리 안에 위치합니다.
more logging.properties 를 사용하여 어떻게 설정이 되어 있는지 보겠습니다.
위에 빨간 테두리로 되어 있는 부분은
java.util.logging.FileHandler 클래스를 이용한 log 로, 날짜(요일) 별로 log 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파란 테두리로 되어 있는 부분은
java.util.logging.ConsoleHandler 클래스를 이용한 log 로, 기본적인 log (catalina.out) 입니다.
level 값을 설정하여 log의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level의 종류에는
ALL, FINEST, FINER, FINE, CONFIG, INFO, WARNING, SEVERE 가 있습니다.
ALL 은 모든 내용이 모두 기록되므로 log의 양이 많으며,
반대로 SEVERE은 심각한 문제 일 경우만 기록하므로 log의 양은 적습니다.
현재는 모든 log 파일이 ${catalina.base}/logs 에 쌓이게 되는데
directory 경로를 바꿔서 log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출처: http://2dubbing.tistory.com/12 [비실이네]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OMCAT ] catalina.out 로그 백업 ( cronolog 사용 ) (0) | 2017.04.27 |
---|---|
tomcat log level (0) | 2017.04.27 |
Tomcat 의 logging.properties 및 log 디렉토리 설정 (0) | 2017.04.27 |
Cause: java.sql.SQLException: The user specified as a definer 에러 발생 시 (0) | 2017.04.27 |
mysql 현재시간 설정 mysql (0) | 2017.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