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ostname 설정
이 서버에 이름을 정하는 것이다. 이름을 잘 정해 두어야 나중에 다중 서버작업을 할 때 헷갈리지 않는다.
위의 뜻은 “li599-115 서버에 root 사용자” 라는 뜻이다.
서버 이름은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을 쓰는 것이 좋다.
참고로 라엘이의 이 블로그 서버의 hostname은 blog.lael.be 이다.
#vi /etc/hostname
빈 파일일 건데(또는 기존 hostname이 쓰여있을것임.) 원하는 이름으로 바꾼다.
권장하는 단어는 이 서버에 연결될 대표 도메인이다. 예를 들어 blog.lael.be 같은 것.
적용한다.
#hostname -F /etc/hostname
서버에 재 접속하면 적용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hostname 값은 서버작업자에게 서버이름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며, 아무 의미없는 글자를 적어도 된다.
일부 sendmail 같은 프로그램에서 다른 서버와 통신시 사용하기도 한다.
- hostname 을 FQDN 으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하지만, 외부와 연결이 없는 서버이거나 자신이 쓰고 싶은 이름이 있다면 (팀명이나, 회사명, 서비스명 등) 그것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myserver1, new1111 같이 자신이 하고 싶은대로 정했다고 한다면, 서버의 /etc/hosts 에 해당 이름을 등록해두도록 하자.
127.0.0.1 myserver1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쉬프트 + 스페이스로 변경 (0) | 2018.01.18 |
---|---|
ubuntu 에 mariadb 설치하기 (0) | 2018.01.18 |
리눅스 현재 시간 동기화 하기 (0) | 2017.05.26 |
mysql 시간 셋팅 (my.cnf) (0) | 2017.05.26 |
mysql 계정 추가 삭제 (0) | 2017.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