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 Server는 Continous Integration 환경을 구축하는데 핵심이 되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Ant나 Maven과 같은 빌드 스크립트 도구를 기반으로 빌드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CI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은 제가 일전에 번역해 놓은 Continous Integration을 읽어 보시고, 영어가 좀 되시는 분들은 원문을 보시길 강추합니다.) 이 CI Server의 기능을 리스트로 잘 정리해 놓은 사이트가 있어서 공유합니다. 한가지 아쉬운건 그래서 뭐가 제일 좋다는 순위나, 각 서버간의 비교가 없는 점 이네요. (하긴 상대적이어서 의미가 없을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Continuous Integration Server Feature Matrix 출처 : ..
TestNG 란?TestNG는 Java로 만들었고 JUnit와 NUnit에 영감을 받은 testing framework이다.TestNG는 JUnit이 가지고 있는 기능들만을 그저 상속받아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새롭고 혁신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것들은 강력하고 사용하기 쉽고, 신뢰성이 높으며유지가능하고 테스트 할 수 있는 코드를 만들어 낸다. 또한 TestNG는 테스트의 모든 카테고리를 커버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단위테스트, 기능테슽, end-toend 테스트, 통합 테스트 등) What is TestNG features?- Annotations- 멀티쓰레드에 안전하게 코드를 테스트한다.- XML을 이용하여 유연한 테스트 설정을 한다.- data-driven testing을 지원한다(@DataP..
Selenium을 이용한 UI 테스트 1. Selenium 개요 1.1 Selenium이란 1.2 Selenium Components 2. Selenium IDE의 사용 2.1 Selenium IDE 설치 2.2 Selenium IDE 테스팅 예제 3. Selenium RC의 사용 3.1 다운로드 및 설치 3.1 Selenium RC 예제 4. WebDriver를 이용한 UI 테스트 4.1 WebDriver 개요 4.2 WebDriver 예제 1. Selenium 개요 1.1 Selenium이란 Selenium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테스팅 프레임워크로 자동화 테스트를 위한 여러가지 강력한 기능을 지원해준다. 다양한 브라우저들을 지원하며, 다양한 테스트 작성 언어(Java, Ruby, Groovy, P..
출처 : http://blog.naver.com/joycestudy/100116443934 아래 링크에 나온 내용들을 따라 가면서, 허드슨으로 PHP 개발 환경을 구축해본다.허드슨으로 CI서버 구축하기 네이버 nForge 프로젝트 대상으로, 허드슨 CI 서버 구축한 예제...허드슨(영어식 발음은, 흠, 헛슨)에서 PHP의 각종 검사 도구를 결합해서 결과 보고서 생성아래 항목들을 검사함.phpcs : Coding Style 검사phpunit : 단위 테스트phpmd : 복잡도 검사N’SIQ : LOC(Lines of Code) 측정 Hudson 서버 설치/실행 root 계정으로, 아래 명령 실행. $ su - $ rpm --import http://hudson-ci.org/redhat/hudson-ci.o..
ubuntu os 란? PC나 데스크탑이나 서버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리눅스의 배포판이다. 데비안 GNU/리눅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데비안 GNU/리눅스에 비해서 사용자 편의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아프리카어인 우분투의 뜻인 '타인에 대한 인간애(humanity towards others)'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우분투는 누구나 무료로 운영체제 (OS)사용할 수 있게하자는 LINUX의 철학을 계승하고 있다. --------------------------------------------------------------------------- 우분투(UBUNTU) 란 말 아세요?" 그 유래는 어떤 인류학자가 아프리카 한 부족의 아이들에게 게임을 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근처 나무에 아이들이..
리눅스 중에 RedHat, Fedora, Centos는 모두 비슷한 계열이고, 우분투, 쿠분투는 데비안 계열로 분류됩니다. (현재 시중에 나온 SULinux 등도 Fedora 계열입니다. ) 리눅스는 처음 사용자가 어떠한 것을 접하느냐에 따라 계열이 바뀔 뿐이고, 명령어 등이나 기타 사용법 등은 비슷합니다. 가장 큰 차이라고 한다면 패키지 관리가 RPM으로 되는지 apt로 되는지의 차이가 있습니다. RPM은 대표적인 RedHat 계열의 패키지이고, apt는 데비안 계열의 대표적인 패키지 입니다. 화려한 그래픽 기능과 다양한 기능을 접할 수 있는 우분투 계열의 리눅스를 사용하셔도 되고, 일반적이지만 서버로 적합한 Fedora 계열을 사용하셔도 큰 문제는 되지 않습니다.
RTMP / RTSP 20세기 초반 어도비의 플래시는 인터넷에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과 RIA(Rich Internet Application) 측면에서 가장 앞서있던 기술이었다. 기존의 Window Media가 지배했던 웹 비디오 시장이 점차 HTTP 다운로드 방식의 플래시 비디오로 넘어가게 되었다. 이 당시 비디오 공유 시장, 소위 UCC의 확산으로 플래시 비디오는 거의 웹의 표준으로까지 성장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방식은 보안과 저작권에 대한 문제를 안고 있다. PC의 임시 저장 공간에 남아있는 컨텐츠로 인해서 누구라도 복제하고 재배포할 수 있는 우려를 낳게 해 준다. 이에 어도비는 전통적인 스트리밍 방식의 RTMP 프로토콜을 공개한다. 보통 1시간 분량의 드라마나 영화 수백 편을..
Progressive Download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는 지금까지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던 동영상 전송 방법이다. 이 방식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사이트는 유튜브, ESPN, CNN 등 이다.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점진적(Progressive) 으로 내 컴퓨터에 다운로드하여 플레이 되는 방식이며, 미디어 서버가 아닌 웹 서버에 비디오를 올려놓고 플레이어에게 URL을 알려주면 되므로, 가장 구현이 쉽고 비용 절감적인 방법이다. 미디어 재생에 필요한 정보를 웹 서버를 사용하므로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클라이언트가 비디오를 클릭하면 웹 서버로부터 즉시 다운로드가 시작된다. 다운로드 즉시 플레이가 될 수도 있고, 좀 더 시간이 지난 후 플레이 될 수도 있다. (전체 파일이 다운로드 될 필요는 없다...
스트리밍이란 무엇일까요? 스트리밍(streaming) 이란 인터넷(네트워크)을 바탕으로 사용자들에게 각종 비디오, 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디지털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로 인터넷에서 영상및 음향 등의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다운로드 받아 재생하던 것을 다운로드 없이 실시간으로 재생해 주는 기법이다. 전송되는 데이터가 마치 물이 흐르는 것처럼 처리된다고 해서 “스트리밍(streaming)”이라 표현하고, 파일이 모두 전송되기 전이라도 클라이언트 브라우저 또는 플러그인이 데이터를 표현하기 시작한다. 재생 시간이 단축되며 클라이언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용량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전통적인 스트리밍 라이브 스트리밍을 위한 전통적인 프로토콜로는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CBR, VBR, ABR이란? CBR, VBR, ABR은 무엇이고 또 어떻게 다를까요? 아래에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CBR (Constant Bit Rate) : 고정비트율 고정 비트레이트(constant bitrate; CBR)는 가변 비트레이트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전자 통신이나 컴퓨팅에서 출력 데이터가 일정하도록 하는 기술이다.고정 비트레이트는 데이터의 길이(또는 시간)과 비트레이트를 이용하면 파일의 크기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지만 데이터를 많이 필요로 하는 곳에는 충분하게 비트레이트를 할당하지 못하고 데이터가 필요없는 빈 공간에는 과도하게 비트레이트를 할당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복잡한 데이터 부분에다 비트레이트를 충분히 할당하지 못하는 문제는 가장 높은 비트레이트를 선택해서 해결할 수..